영상 제작을 할 때, 빠르고 효율적인 도구를 찾기 어려운가요? 특히 AI 기반 도구를 사용하면 텍스트만으로 영상을 생성할 수 있지만, 그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저도 처음에는 여러 AI 도구를 테스트해 보았지만, 결과물이 기대에 미치지 않거나 불편함을 겪기도 했어요. 그럴 때마다 어떤 도구가 더 나은 선택인지 고민되었죠.
이번 글에서는 소라 AI와 클링 AI를 비교하면서, 각 도구의 장단점을 공유합니다. 두 도구 모두 텍스트 입력만으로 영상을 생성할 수 있지만, 그 특성과 결과물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 비교를 통해, 여러분에게 더 적합한 도구를 선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Sora AI와 KLING AI, 간단히 알아보기
소라 AI와 클링 AI는 텍스트 입력만으로 동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AI 기반 도구입니다. 두 도구 모두 최신 기술을 활용해 영상 제작 과정을 단순화하고 있지만, 접근성, 기능, 결과물의 품질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소라 AI는 감각적이고 빠른 동영상 제작에 특화된 도구입니다. 텍스트를 기반으로 장면을 구성하고, 시각적인 효과와 애니메이션을 자동으로 추가합니다. 글로벌 사용이 가능하며, ChatGPT 유료 구독자(ChatGPT Plus 또는 Pro)라면 매월 제공되는 크레딧으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크레딧이 소진되면 추가 구매가 필요하며, 결과물의 품질이 간혹 엉뚱한 장면으로 이어질 수 있어 추가 수정 작업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클링 AI는 Kuaishou AI 팀이 개발한 도구로, 초당 30프레임, 1080p 고해상도의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을 자랑합니다. 디퓨전 트랜스포머 아키텍처와 3D VAE 기술을 활용해, 객체 간 물리적 상호작용과 자연스러운 동작 시뮬레이션을 구현합니다. 최대 2분 길이의 영상 제작이 가능하며, 복잡하고 정교한 결과물을 제공합니다. 현재는 중국 내에서 데모 버전으로 제공되며, 해외 출시가 예정되어 있어 글로벌 접근성은 제한적입니다.
클링 AI는 안정적인 영상 흐름과 매끄러운 자막 동기화가 특징이며, 소라 AI는 빠르고 감각적인 영상을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한 도구를 선택할 수 있으며, 두 도구 모두 무료 사용이 가능하므로 직접 테스트해보고 결정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개요: 동일한 프롬프트로 영상 제작
이번 비교 테스트는 두 도구가 동일한 조건에서 어떤 결과물을 생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먼저, 미드저니(MidJourney)를 활용해 제작하고자 하는 영상의 톤과 스타일을 담은 이미지를 생성했습니다. 이 이미지를 소라 AI와 클링 AI에 제공한 뒤, 동일한 프롬프트를 입력해 두 도구의 영상 제작 성능과 결과물을 비교했습니다.
프롬프트: The mother cat is holding and petting the kitten. The kitten is held in peace.
이미지와 프롬프트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두 AI가 얼마나 원본 스타일과 메시지를 잘 반영하는지 평가할 수 있었습니다. 각각의 결과물은 동일 조건에서 테스트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두 도구의 장단점을 분석했습니다.
소라 AI로 제작한 영상
소라 AI를 활용해 영상을 제작한 결과, 생성 속도는 빠르고 직관적이라는 점이 가장 큰 장점으로 느껴졌습니다. 저는 현재 ChatGPT 유료 플랜을 구독 중이며, 소라는 무료 버전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유료 플랜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덕분인지 동영상 생성 속도가 빠르게 이루어졌고, 텍스트 입력과 함께 영상이 바로 구성되었습니다.
하지만 영상 제작 과정에서 몇 가지 아쉬운 점도 있었습니다. 장면 전환 과정에서 종종 맥락과 맞지 않는 자료가 끼어들거나, 예상하지 못한 장면이 포함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예를 들어, 기술적인 내용을 설명하는 텍스트에 갑작스럽게 동떨어진 배경 이미지나 영상 효과가 삽입되어 흐름이 끊기는 경험을 했습니다.
클링 AI로 제작한 영상
클링 AI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며, 이는 기본적인 영상 제작을 테스트해보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매력적인 부분입니다. 무료 사용자에게는 매일 66크레딧이 지급되며, 5초 길이의 기본 영상을 제작하는 데 10크레딧이 소모됩니다. 유료 버전을 이용하면 더 많은 크레딧을 제공받아 고품질의 긴 영상을 제작할 수 있으며, Professional Mode와 같은 추가 기능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과정에서 무료 버전을 사용했을 때, 영상 생성 속도는 영상 당 약 10~15분 정도로 소라 AI보다 느리게 느껴졌습니다. 이는 무료 플랜의 한계로 보이며, 소라 AI의 빠른 생성 속도와는 뚜렷한 대조를 보였습니다. 다만, 생성된 영상의 흐름은 매우 매끄럽고 자연스러웠으며, 텍스트 기반의 음성과 자막 동기화가 정확하게 이루어졌습니다.
클링 AI의 무료 플랜은 5초 길이의 짧은 영상 제작이 가능하며, 짧은 클립 제작 시에도 안정적이고 명료한 결과물을 보여줍니다. 유료 플랜을 통해 더 긴 영상을 제작하면 소라 AI와 비교해도 손색없는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왜 클링 AI에 한 표를 줬을까?
동일한 프롬프트로 두 도구를 비교했을 때, 확실히 클링 AI가 더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소라 AI는 비주얼적으로 감각적인 장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점이 매력적이지만, 이미지를 제공해 비디오를 생성하는 조건에서는 클링 AI와 품질 차이가 거의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장면 전환이 의도와 맞지 않게 이루어지는 현상이 반복되어, 수정에 많은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이로 인해, 예상보다 영상 제작 과정이 번거롭고 비효율적으로 느껴졌습니다.
반면, 클링 AI는 비디오의 안정성이 돋보였고, 영상의 흐름이 매끄럽고 자연스럽게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일관성과 신뢰감 있는 결과물 덕분에 클링 AI는 영상의 내용 전달과 스토리텔링에 있어 훨씬 뛰어나다는 인상을 주었습니다.
결론
이번 테스트를 통해 소라 AI와 클링 AI는 각기 다른 강점을 가진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두 도구 모두 텍스트 입력만으로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점에서 효율적이었지만, 사용 목적과 결과물의 기대치에 따라 적합성은 달라졌습니다.
소라 AI는 비주얼적으로 감각적이고 세련된 장면을 빠르게 생성할 수 있는 도구로, 짧은 홍보 영상이나 스타일이 강조된 콘텐츠 제작에 적합했습니다. 그러나 장면 전환의 불일치와 의도와 맞지 않는 장면이 끼어드는 현상이 반복되어, 수정에 많은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이는 특히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프로젝트에서는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클링 AI는 무료로 테스트할 수 있는 접근성과 더불어, 안정적이고 자연스러운 영상 흐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강력한 인상을 주었습니다. 생성 속도는 소라 AI보다 느리지만, 텍스트 기반의 음성과 자막 동기화가 정확하고 결과물이 일관성이 있어, 정보 전달과 스토리 중심의 콘텐츠에 적합한 도구로 평가되었습니다.
AI 도구를 선택할 때는 제작하려는 영상의 목적과 필요를 먼저 고민해 보세요. 적합한 도구를 선택한다면, AI가 제공하는 효율성과 창의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